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기존 DID와 다른 다오패스의 특별한 인증 방식

Authentication

by 다오패스 2024. 6. 26. 10:03

본문

사진: Unsplash 의 GuerrillaBuzz

 

최근 몇 년 간 디지털 인증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블록체인을 활용한 DID(Decentralized Identifier)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오패스가 기존 DID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다오패스가 대중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에 관심있는 분

✅ NFT에 관심이 있고,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분

✅ DID인증과 DAOPASS 인증 비교가 궁금하신 분

 

더보기

DID(Decentralized Identifier) 인증이란?

 

DID 인증은 "분산 식별자(Decentralized Identifier)"를 사용하여 개인의 디지털 신원을 확인하는 것.

중앙 집중식 기관이나 중개자 없이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신원을 관리합니다. 사용자는 자신의 신원을 제어하고

보호할 수 있으며, 온라인 활동 시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다오패스의 주요 차별점

1. 지갑주소 또는 NFT 홀더 인증(간편 로그인)

  • 지갑주소 인증: 티켓 예매 전에 지갑 주소를 인증하여 사용자가 예매한 현황, 오프라인에서는 본인 확인 수행합니다.
  • NFT 홀더 인증: 파트너 신청 시 애니패스를 통한 NFT 홀더 인증으로 온라인 자격을 검증합니다. 

2. 자격 확인 후 발급하는 NFT 

  • 자격확인: 인증에 사용되는 NFT는 발행자가 자격을 확인한 후에만 발급됩니다.
  • 자동화와의 차별성: 무분별하게 NFT 자동 발행이 아닌 자격 확인 과정을 통해 진행됩니다.

3. 개인정보가 아닌 인증 성공 여부에 중점

  • 개인정보 최소화: 인증 시 개인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활동 및 구매 내역 등을 통해 자격을 부여합니다.
  • 인증 성공 여부에 집중: 소유보다는 인증의 성공 여부만을 위해 기능을 사용합니다.

4. 인증에 따른 다양한 추가 정보와 기능 제공

  • 메타 정보를 활용한 추가 기능: 인증에 사용되는 NFT의 메타 정보를 활용하여 추가 정보 및 기능을 제공합니다.
유효기간 설정: 인증의 유효기간을 설정하여 기간 만료 시 자동으로 자격을 재검토합니다.
블랙리스트 기능: 특정 사용자를 블랙리스트에 추가하여 인증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소유자 변경 금지: 특정 NFT는 소유자가 변경되지 않도록 설정하여 인증의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레벨 설정: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레벨을 설정하여 Web3 커뮤니티의 활동 동기부여와 혜택을 제공합니다. 

 

 

기존 DID 인증과 다오패스(DAOPASS) 인증의 비교

구분 DID 인증 DAOPASS 인증
블록체인 활용 블록체인 토큰 내에 개인정보 암호화 보관 자격 확인 후 NFT 발급, 보유 인증
정보 관리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직접 관리 사용자의 행위 및 자격을 기반으로 NFT 발행
주요 용도 주로 금융권 등 개인정보가 필요한 인증에 사용 사용자의 활동을 기반으로 한 인증, 대중화 목적
인증 방식 개인정보를 직접 관리
필요 시, 제3자에게 제공
NFT 보유 여부만을 인증
개인정보를 다루지 않음
추가 기능   메타 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추가 기능 제공

 


 

홈페이지 바로가기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