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 간 디지털 인증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블록체인을 활용한 DID(Decentralized Identifier)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오패스가 기존 DID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다오패스가 대중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 개인정보 보호에 관심있는 분 ✅ NFT에 관심이 있고,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분 ✅ DID인증과 DAOPASS 인증 비교가 궁금하신 분 |
DID(Decentralized Identifier) 인증이란?
DID 인증은 "분산 식별자(Decentralized Identifier)"를 사용하여 개인의 디지털 신원을 확인하는 것.
중앙 집중식 기관이나 중개자 없이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신원을 관리합니다. 사용자는 자신의 신원을 제어하고
보호할 수 있으며, 온라인 활동 시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유효기간 설정: 인증의 유효기간을 설정하여 기간 만료 시 자동으로 자격을 재검토합니다. - 블랙리스트 기능: 특정 사용자를 블랙리스트에 추가하여 인증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소유자 변경 금지: 특정 NFT는 소유자가 변경되지 않도록 설정하여 인증의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 레벨 설정: 사용자의 활동에 따라 레벨을 설정하여 Web3 커뮤니티의 활동 동기부여와 혜택을 제공합니다. |
구분 | DID 인증 | DAOPASS 인증 |
블록체인 활용 | 블록체인 토큰 내에 개인정보 암호화 보관 | 자격 확인 후 NFT 발급, 보유 인증 |
정보 관리 |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직접 관리 | 사용자의 행위 및 자격을 기반으로 NFT 발행 |
주요 용도 | 주로 금융권 등 개인정보가 필요한 인증에 사용 | 사용자의 활동을 기반으로 한 인증, 대중화 목적 |
인증 방식 | 개인정보를 직접 관리 필요 시, 제3자에게 제공 |
NFT 보유 여부만을 인증 개인정보를 다루지 않음 |
추가 기능 | 메타 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추가 기능 제공 |
다오패스 복구, 니모닉 잊어도 다오리커버가 도와드립니다. (0) | 2024.06.26 |
---|